오픈소스 플랫폼인 타이젠은 모든 디바이스를 연결하여 하나의 세상을 만들고자 합니다. 현재까지 모바일, 웨어러블, TV에 성공적으로 타이젠을 이식하여 멀티 프로파일 플랫폼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습니다. 더불어 타이젠은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웹앱과 네이티브앱을 위한 개발환경을 견고하게 구축하고 있습니다. 개발자들은 앱의 성격에 맞게 개발방법을 선택하여 다양한 환경, 다양한 기기에서 유연하게 동작하는 앱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타이젠 웹앱과 네이티브앱의 핵심 동작원리와 필수개념을 비교해보며, 앱개발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박영주, Samsung 박영주 수석연구원은 삼성전자 소프트웨어센터의 Software Platform 팀의 일원이다. Tizen platform의 주요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이끌고 있으며 이미 Tizen 기반의 삼성 Gear 시리즈 와 Z시리즈 스마트폰 개발에도 참여하여 주요 앱들을 개발 탑재를 시켰다. 현재 그는 오픈소스 플랫폼인 Tizen의 앱 개발 및 개발자 환경, 또한 소통에 힘을 쏟고 있다.
Livecoding is very often associated with higher level languages. In this talk, Andrew will extend on ideas from his keynote, to demonstrate livecoding 'down to the metal'. What kind of liveness becomes available to the programmer when working with languages designed specifically for high performance livecoding. Andrew will demonstrate these ideas using his own Extempore language.
Andrew Sorensen, MOSO Corp. Andrew Sorensen is an artist-programmer whose interests lie at the intersection of computer science and creative practice. Andrew is well known for creating the programming languages that he uses in live performance to generate improvised audiovisual theatre. He has been invited to perform these contemporary audiovisual improvisations around the world. Andrew is the author of the Impromptu and Extempore programming language environments
In this talk, we introduce the extensions of Spark Streaming to support (1) SQL-based query processing and (2) elastic-seamless resource allocation. First, we explain the methods of supporting window queries and query chains. As we know, last year, Grace Huang and Jerry Shao introduced the concept of “StreamSQL” that can process streaming data with SQL-like queries by adapting SparkSQL to Spark Streaming. However, we made advances in supporting complex event processing (CEP) based on their efforts. In detail, we implemented the sliding window concept to support a time-based streaming data processing at the SQL level. Here, to reduce the aggregation time of large windows, we generate an efficient query plan that computes the partial results by evaluating only the data entering or leaving the window and then gets the current result by merging the previous one and the partial ones. Next, to support query chains, we made the result of a query over streaming data be a table by adding the “insert into” query. That is, it allows us to apply stream queries to the results of other ones. Second, we explain the methods of allocating resources to streaming applications dynamically, which enable the applications to meet a given deadline. As the rate of incoming events varies over time, resources allocated to applications need to be adjusted for high resource utilization. However, the current Spark's resource allocation features are not suitable for streaming applications. That is, the resources allocated will not be freed when new data are arriving continuously to the streaming applications even though the quantity of the new ones is very small.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 we consider their resource utilization. If the utilization is low, we choose victim nodes to be killed. Then, we do not feed new data into the victims to prevent a useless recovery issuing when they are killed. Accordingly, we can scale-in/-out the resources seamlessly.
김병진, Samsung 삼성전자 소프트웨어센터 Cloud Platform 팀에서 Spark, Kafka, Redis 기반 스트림 분석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음
권오찬, Samsung 삼성전자 소프트웨어센터 Cloud Platform 팀에서 Mesos/Yarn 기반 Spark/Hadoop 클리스터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음
GStreamer is an open source library for building multimedia applications (media players, capture encoders, etc). Encapsulating existing atomic multimedia software components such as codecs, filters, and platform-specific I/O, GStreamer is based around a pipeline model where each element processes the data returned by the previous one.
In order to protect copyrighted content and support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the pipeline needs to handle the encrypted content. Both, being able to send the encrypted content to the output or decrypting it in the pipeline and sending it decrypted. How can a modular framework with content shared through memory buffers, get around the limitation of needing to render and protect encrypted content?
Thiago Santos and Luis de Bethencourt will explain the depth of the problem and how it is being solved by the GStreamer community.
Thiago Santos, Samsung
Gstreamer Maintainer
Samsung Open Source Group
Luis de Bethencourt, Samsung
Gstreamer Maintainer
Samsung Open Source Group
안드로이드 QA 및 App crash를 해결하기 위한 오픈소스 서비스인 UrQA를 소개하고, 기존 이슈를 해결한 새로운 2.0 버전에 대해서 발표합니다. 또한 UrQA에서 High Availabity를 유지하기 위한 기법들도 간단히 소개합니다.
- The recent trend of Mobile Application Market
- UrQA Overview
- UrQA 2.0 Introduction
- UrQA 2.0 Architecture
- UrQA 2.0 Vision
강성훈, 미래창조과학부 SW Maestro 6기 연수생 GitHub를 사랑하며 재미있는 소프트웨어를 만드는걸 좋아합니다. 현재 미래창조과학부 SW Maestro 6기 연수생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김남훈,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컴퓨터공학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컴퓨터공학부에 재학중이며, 현재 SW Maestro 연수과정을 진행중입니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데이터베이스 관련 일을 시작으로 IT에 입문하여 대외활동을 통해 Microsoft와 Google의 여러 행사에 참여하였고, 프로그래밍 강사 및 삼성전자 소프트웨어멤버십 과정을 수료하였습니다. Naver D2 Campus Partner로 IT 관련 동아리를 이끌고 있습니다.
정민우, Node.js Foundation Node.js Foundation Evangelism 그룹 최초의 한국인 에반젤리스트로 활동중이며 Node.js, Angular.js, Twitter FlightJS, Netty 프로젝트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나라, 미래창조과학부 SW Maestro 6기 연수생 현재 미래창조과학부 SW Maestro 6기 연수생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The Internet of Things is the most recent buzzphrase, and like “Cloud” before it has only a vague definition. Different people will give you different answers if you ask them what either of them are. Yet one thing is for certain: the Internet of Things is based on open source software and open standards.
In 2014, two related entities were created to address IoT problems: IoTivity and the Open Interconnect Consortium. OIC is a standards group, an alliance of companies uniting to create the communications protocol to power all types of exchanges between devices, things, and the cloud; where IoTivity is an open source
collaborative project hosted by the Linux Foundation, aimed at implementing those protocols.
This session will give an overview of what the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 Internet of Things actually are, and the technologies behind them. It will talk about the IoTivity project, what it is trying to solve, and how it is going about that, including its governance structure and especially its unique relationship with the Open
Interconnect Consortium. In the process, the audience will learn what challenges the new “Things” world poses, and will hopefully be inclined to contribute to the joint efforts that are trying to solve them.
홍문기, Samsung 삼성전자 책임연구원
You can hardly get through a tech conversation today without talking about cloud or containers. In many ways this technology is changing the way people consume infrastructure, and not always for the best. We'll explore cloud, containers, cluster and service management, see what the cutting edge is capable of delivering, and highlight some of the dangers involved as well.
David Nalley, Citrix
아파치재단 부의장
CloudStack PMC & Committer
CiTRix, Open Source Business Office Sr. Manager
The FFmpeg project, one of the enablers of what we now know as FOSS multimedia and used by countless high-level playback and processing software, is as complex as the community that drives it. In this talk, both aspects are presen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a long-time contributor. How its major parts fit together, what is available, what is missing, how its community works together and what major conflicts and achievements have shaped it. The talk goes through these topics using a relaxed yet historical approach, geared towards anyone interested in FOSS multimedia, regardless of experience.
Reynaldo Verdejo, Samsung Ffmpeg/Gstreamer Maintainer
오늘날, 모든 기업활동에 있어서 IT는 코어 비즈니스를 보조하는 보조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코어 비즈니스 그 차제가 되는 경우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엔터프라이즈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있어서 기존의 프로젝트 중심 패러다임에서 프로덕트 중심 패러다임으로 전환에 성공한 국내외의 사례를 살펴보고 이들 사례로 부터 Best Practice를 정제하여 보고자 한다.
정개발(정도현), Mamezou IT컨설턴트/아키텍트
현재 일본 Mamezou IT컨설턴트/아키텍트
나는 프로그래머다 저자
InfoQ Japan 필진
QCon Tokyo 준비위원
블로그 moreagile.net운영
페이스북 ServerSideArchitectGroup 운영진
2014년 2월 매년 바로셀로나에서 열리는 MWC(Mobile World Congress)에서 삼성전자는 Gear2와 Gear2 Neo라는 Tizen 기반의 웨어러블 기기를 선보인다. 그리고 같은해 9월 독일의 가전제품 박람회인 IFA 2014에서 기어S를 발표하였다. 또한 2015년 9월 IFA2015에서 원형의 기어S2를 발표하면서 다시 타이젠의 웨어러블에 대한 전망을 밝게하고 있다. 본 세미나에서는 HTML5를 이용하여 타이젠 기반의 웨어러블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자.
서영진, GE&T solutions IT 분야에서 90년대부터 십여년이 넘게 프로그래밍을 하고 있으며, IT 전문강사와 컨설턴트, 관광 TC로도 일하고 있다. 리눅스용 다이얼패드, SKY 6400/6500 모바일 캠코더, 원자력 발전소 CPS 시스템, 신도리코 NEST UI, 삼성전자 VOIP 폰 등 리눅스/UI(Qt)/임베디드/모바일/스마트폰 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했으며, 이집트 SECC, 삼성전자, LG전자 등의 정부 기관/업체와 대구/DIP/인하/원광/전북/ 조선대학교 등의 앱창작터와 3DFIA, 전자부품연구원(KETI), KEA, RAPA, KOSTA 등의 협회에서 강의 및 세미나를 진행하였다. 주요 저술로는 “사물인터넷을 위한 리눅스 프로그래밍 with 라즈베리 파이”, “타이젠으로 웨어러블 앱 개발하기”, "사물인터넷 - 우리가 꿈꾸는 스마트한 세상", "[열혈강의] Qt 프로그래밍" 등이 있다.
2,000년대 중반부터 실험적으로 차량에 리눅스 기반 시스템이 활용되기 시작한 후 10년이 지났습니다. 이제 리눅스 및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와 텔레메틱스의 개발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 되었습니다. 관련 업계의 최근 기술 동향을 살펴보고, 차량에서의 오픈 소스 활용의 미래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고자 합니다.
김태용, 윈드리버 코리아
(현) 윈드리버 코리아 디자인 센터 센터장
윈드리버 아시아 퍼시픽 솔루션 아키텍트
윈드리버 서비스 세일즈 매니저
엔서크 코리아 지사장
윈드리버 필드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고객 지원 엔지니어
하둡(Hadoop) 기반의 빅데이터 웨어하우스(DW) 엔진인 타조(Tajo)는 2013년 아파치 재단의 오픈소스로 공헌되면서 한국에서는 고려대학교, 그루터, 카카오, 해외에서는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링크드인 등의 주요 개발자들이 참여하면서 글로벌 오픈소스로 발돋움 하였습니다. 2014년에는 아파치 탑레벨 프로젝트로 성장하여 주요 기업과 서비스 업체들이 사용하고 있거나, 도입 검토 중인 빅데이터 핵심 인프라 기술입니다.이번 발표에서는 데이터 홍수 시대에서 전통적인 DW의 한계점과 하둡과 타조를 이용한 극복 방법, 그리고 실제 타조 기반의 DW 구축 사례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정재화, 그루터 지난 10여년 동안 SI, 대용량 분석 인프라, 웹 퍼블리싱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경험해왔습니다. 지금은 빅데이터 플랫폼 전문 기업인 그루터에서 근무하며, Apache Tajo의 PMC 멤버이자, 풀타임 커미터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글쓰는 것을 좋아해서 하둡 기술을 공유하는 블로그(http://blrunner.com)을 운영하고 있으며, "시작하세요! 하둡 프로그래밍"이라는 하둡 입문서를 출간했습니다.
Wayland has been championed by some as a replacement for X, but only recently is it finally starting to make inroads on desktops. This talk explains what Wayland is, why it's a worthy successor to X, and some barriers to its widespread adoption. Missing functionality will be covered as well as areas where Wayland based compositors can already exceed X's capabilities. Current upstream developments in Weston (the Wayland reference compositor) such as atomic mode setting and dmabuf support, will be presented.
Derek Foreman, Samsung Derek Foreman writes open source software for Samsung's Open Source Group, specializing in graphics work. Previously, he was on the graphics team at an open source consultancy where he primarily focused on hardware enablement and software optimization for embedded systems. His career started at a biomedical institute where he developed analysis and control software for medical imaging equipment.
There has been an increased support for various profiles and devices on Tizen. As Tizen is a multi/cross platform, device integration will be the main factor of a fluid interface between devices. Whether it is Mobile, Wearable, or TV the scalability and usability will be accessible. These features will allow the users to gain: (1) Easy Access, (2) Content Mash-up, and (3) Multi Device Control. This presentation will introduce the "Tizen Pass" which cover Cross device User Experience & features of Tizen convergence service FW.
장경아, Samsung 삼성전자 수석연구원
The IoTivity project seeks to improve the Internet of Things by providing a portable, scalable, open source code base for developers and manufacturers to use. The current implementation targets multiple OS's including Linux, Tizen, OS X, Android and even Arduino, and a common implementation based on open standards will be a big win for many.
This talk will cover what is took to get the project running well on constrained devices, including the Raspberry Pi 2 and Arduino. It will also cover some hints on setting up and getting started, along with details about many of the architectural and implementation decisions needed for the project to be successful.
Jon Cruz, Samsung Jon Cruz is a Senior Engineer at Samsung's Open Source Group. He has been working in Open Source for quite some time and shipped his first linux-based appliance in 1996. He is currently collaborating on Wayland, is a sub-maintainer with IoTivity and is an Inkscape core developer and Board Member. He has participated as a mentor in Google’s Summer of Code since its inception. Jon is an international speaker, most recently presenting at linux.conf.au and OSCON.
최근 빅데이터 이슈와 함께 유동인구를 50미터 육각셀로 표시한 지도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와 유사한 프로젝트가 근자에 많이 회자되는 추세다. 보통 GIS 프로젝트하면 전용 패키지와 고비용 서버가 필요하다 지레 짐작하기 쉽다. 중소기업이나 개인은 접근하기 쉽지 않은 소프트웨어 인프라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2000년대 초부터 PHP 언어로 웹퍼플리싱을 간편하게 하기 위한 드루팔이라는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현재 드루팔은 전세계 웹사이트의 상당 비율을 차지할 만큼 발전했고 성장하였다.
또한 지리정보 분야에서는 오래 전부터 자바스크립트 기반 오픈레이어라는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구글맵 처럼 온라인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벤더는 자사의 환경에 맞는 API를 만들어 배포하곤 했다. 이러다 보니 각 사가 만든 API가 호환이 안되는 것은 물론 애써 구축한 지리정보도 공유가 안되는 정보의 고립이 심화되었다. 오픈레이어는 기반이 되는 지도와 지리정보 간의 표준을 정의함으로 벤더간 지리정보 및 지도의 공유를 가능하게 만든 자바스크립트 기반 매쉬업 분야의 비공식 표준이 되었다.
그런데 최근 몇 년 사이 오픈소스 분야의 빅프로젝트 드루팔과 오픈레이어가 손을 잡았다. 오픈레이어가 드루팔 모듈 형태로 컨버젼되어 드루팔 프로젝트에 포함된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엄청난 고비용 인프라가 요구되는 메시업 프로젝트의 기반 소프트웨어가 모두 무료가 된 것이다. 이를 알고 있는 웹 프로그래머가 얼마나 될까? 매쉬업 프로젝트는 웹프로그래머가 애초에 가능한 영역이라고 생각치도 않았던 주제일 것이다. 하지만 이제는 모두 옛 일이 되버렸다. 멀티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HTML5 기반 드루팔8이 한창 개발 중이고 이와 발맞춰 오픈레이어도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드루팔은 8버전을 통해 오라클과 MS-SQL을 품고 또 한번의 비상을 준비중이다.
사례 소개1 : 행정 빅데이터와 오픈소스의 만남 - 매쉬업을 통한 정책지도 제작
사례 소개2 : 공공 빅데이터와 오픈소스의 만남 - 창업자를 위한 상업지구 빅데이터 분석 지도 제작
강우경, 성북구청
드루팔과 행정 빅데이터 접목 프로젝트 마을지도 파운더
저서 - 드루팔 빅데이터맵
The Enlightenment Foundation Library (EFL) is a set of libraries designed to build modern Linux UI's. Historically EFL has focused on raster graphics to provide a fast and efficient rendering pipeline, but the project recently added a Vector API to meet the demands of both developers and users. This talk will quickly cover the existing tools and formats that build the EFL stack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what is available today and the design decisions that led to the creation of this Vector API. From this understanding, the talk will individually explain the highest layers of the EFL stack in depth from the internal layer to the theme layer. This talk will be valuable to anyone who designs UIs that require vector graphics including application and toolkit developers.
Cedric Bail, Samsung
Cedric Bail is a computer science engineer, long time contributor to the Enlightenment project and now working for Samsung Open Source Group.
He worked before for two French operator in their R&D department. He has been involved in several Free or Open Source project in the past 15 years, was involved a lot in the French Enlightenment community and is an experienced C developer. He is behind many refactoring, speed and
memory improvement of EFL, making risky change that invariable tend to break something somewhere.
Node.js Foundation Evangelism 그룹 최초의 한국인 에반젤리스트가 되기까지 다양한 오픈소스 프로젝트(Node.js, Angular.js, Twitter FlightJS, Netty)에 참여하고 collaborator로 활약하면서 얻은 교훈과 경험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오픈소스에 참여하게 된 배경과 오픈소스에 참여하는 자세한 과정을 공유하고, KOTRA 실리콘밸리에 그무하면서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리더로서 활약하는 동안 얻은 교훈을 전파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Node.js 에반젤리스트로서 최신 웹 기술과 백엔드 서버 플랫폼에 대한 기술 내용과 국내 오픈소스의 방향과 미래에 대한 생각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오픈소스 경험을 통해서 얻은 중요한 팁들(외국인 Collaborator와 협업하기 위한 영어와 커뮤니케이션 방법 등)을 세션에서 나눕니다.
정민우, Node.js Foundation Node.js Foundation Evangelism 그룹 최초의 한국인 에반젤리스트로 활동중이며 Node.js, Angular.js, Twitter FlightJS, Netty 프로젝트 활동하고 있습니다. KOTRA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인큐베이터에서 오픈소스 프로젝트 개발,관리 경험이 있으며 삼성 투모로우 솔루션 공모부분 IMPACT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소프트웨어센터, DMC연구소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 경험이 있으며 서울대학교 네트워크 연구실에서 객원 연구원으로 활동하였습니다.
With the raising importance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suitable networking protocols are getting their needed attention. For some IoT scenarios a normal TCP/IP networking stack might be perfectly fine but for small, maybe battery powered, devices with limited wireless functionality this might be to much of an overhead already. On the other hand one would like to build up on the already existing and reality-proven TCP/IP networking code driving the internet. IPv6 over Low powe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6LoWPAN, RFC4944) was specified to fill this gap. By specifying an IPv6 adaptation layer and various compression techniques it allowed the usage of IPv6 networking even on tiny IoT devices, such as sensors. While 6LoWPAN started out as an adaptation layer for IEEE 802.15.4 based networks it is now also used in Bluetooth LE and work is ongoing to adopt it for other technologies like NFC, DECT/ULE, power-line, etc. This talk will cover the 6LoWPAN protocol as described in the IETF RFC"s as well as its current implementation status inside the linux-wpan project and interoperability with operating systems like Contiki and RIOT.
Stefan Schmidt, Samsung Stefan Schmidt is a FOSS contributor for over a decade by now. During this time he worked on different projects and different layers of the Linux eco system. From bootloader and Kernel over build systems for embedded to user interfaces. He was serving as technical steering committee member of OpenEmbedded during the merge with the Yocto project, helped porting a 2.6 kernel to some early smartphones and is the release manager of the Enlightenment Foundation Libraries. Since several years he is now working in the Samsung Open Source Group Europe on the Enlightenment Foundations Libraries, Wayland and the IEEE 802.15.4 and 6LoWPAN Linux stack. His speaking experience covers over 15 presentations in the last nine years, including LPC, ELC, FOSDEM, LinuxTag and FOSS.IN.
중앙집중화된 OS 계정(사용자/그룹/machine(host))관리 (LDAP Server : Directory Server) : LDAP 이나 Kerberos를 통한 중앙집중화된 인증 , Accecc Control 관리, HBAC (hostbase Access Control), SSSD (System Security Service Daemon) (페토라17 이상(RHEL 6이상) 와 연동 위 내용을 설명하고 해당 데모를 동영상을 통해서 직접 데모 시연.
송상준, (주)서진디에스에이 1999년 Directory Server 엔지니어로 시작 (netscape directory server 3.1부터) 2000년~현재까지 다수 및 다양한 LDAP Server 컨설팅, 설계, 구축 주요구축 내용 삼성SDS : OpenStack 구축시 계정관련 LDAP컨설팅 SKTelecom : 모바일 인증 부분 LDAP구축 기타 다수 삼성전자 : OS계정 Directory Server로 관리 및 연동개발
IT를 하면서 리눅스는 많은 분들이 잘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리눅스의 커널에 대해서도 많이 들어보았고, 커널이 중요하다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리눅스 커널이 중요하다고 알고는 있지만 커널이 어려울것 같고, 어디서 시작해야 할지 몰라서 커널을 이야기 하는 사람은 적습니다. 리눅스 커널의 방대함으로 모든 것은 알기는 어렵지만, 중요하다고 말하는 커널을 알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발표입니다. 리눅스 커널의 부트 프로세스를 통해서 전원이 들어왔을 때 하드웨어에서 리눅스 커널이 어떻게 메모리에 적재되는지부터 메모리, 인터럽트와 같은 커널이 사용하기 위한 자원을 초기화하는지, 그리고 프로세스를 위한 초기 동작을 소개하는 발표입니다.
조만석, Open Frontier Lab.
공개 소프트웨어 센터 오픈프론티어랩
UNIX V6 커널 번역
OPNFV 개발자
멀티코어, 분산 컴퓨팅 환경이 보편적인 환경으로 자리잡고 있는 요즘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이라는 방법론이 제시하는 철학과 속성을 설명한다. 그러한 방법론을 실제로 구현하기 위해서 아카 라이브러리가 어떻게 활용되는고 있는지 기술적인 내용을 소개한다.
임작가(임백준), adMarketplace
나는 프로그래머다 저자
현재 미국 adMarketplace 디렉터
도이치은행, 모건스탠리 등 월스트리트 근무
한빛미디어에서 다수의 책 출간
지디넷코리아, 한겨레신문 칼럼니스트
Realm 은 실리콘 밸리에서 오픈소스 제품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입니다.
미국, 덴마크, 아시아 등지에 개발자에 퍼져있는 개발자들을 토대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오픈소스 기업의 기업문화와 성장 위한 고민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박민우, Realm
현, 오픈소스 DB Realm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전, 인모비 모바일 광고 플랫폼 엔지니어
전, 오픈소스 컨퍼런스 OSCON 2013 Speaker
전, KTH 기술전략팀
전, 삼성전자 선임연구원
IoT.js는 초소형 IoT 기기를 고성능 스마트 기기, 웹 서비스 또는 클라우드와 쉽게 연동할 수 있도록 웹 표준 기술인 JavaScript를 기반으로 개발되고 있는 IoT open framework 이다. Web 상에서 다목적 플랫폼으로 널리 알려진 node.js 와 API 수준의 하위 호환성을 유지하여 기존 개발된 application/service를 쉽게 IoT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작은 메모리에서 동작이 가능한 경량 JavaScript 엔진인 JerryScript도 새롭게 개발하였다. 본 세션에서는 IoT.js와 JerryScript의 최신 릴리즈 및 개발 현황에 대해 발표한다.
이춘석, Samsung 삼성전자 소프트웨어센터 책임 연구원
정보 기술의 발전은 인류 사회에 커다란 변화를 주고 있다. 과거 오프라인에서 했던 대부분의 사회문화적 활동은 웹으로 대표되는 온라인 가상공간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모바일 기술의 보편화를 통해 점차 오프라인과 통합이 실현되고 있다. 데이터 관점에서 보면, 이런 환경적 변화는 데이터의 디지털화로 요약된다. 개인에서 기업에 이르기까지 단편적인 활동에서 복합적인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모든 정보는 디지털로 표현되고 새로운 가능성을 만들어낸다. 빅데이터로 대표되는 최근의 움직임은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통한 새로운 가치와 예측에 초점이 있다. 빅데이터의 시작이 소셜 웹과 모바일웹의 결합을 통해 생겨난 새로운 가치라면, 데이터의 공유는 앞으로 펼쳐진 가치로 생각할 수 있다.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 정부들이 공공 데이터를 공개하고 있으며, 온라인 웹사이트 또는 서비스도 대규모 데이터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하고 있다. 향후 다가 올 미래는 더 많은 데이터가 활용 가능해지고, 이를 통해 창의적인 서비스가 우리의 일상 생활에 다가올 것이다. 본 발표는 데이터 관점에서 변화하는 트렌드와 미래를 예측하고, 데이터의 본질적 가치에 대해 소개한다. 빅데이터로 대표되는 데이터 패러다임의 변화와 더불어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오픈 데이터 그리고 스마트홈, IoT 환경에서 발생하는 스마트 데이터에 대해 소개한다. 삼성전자에서 추진하고 있는 지식 플랫폼 (K#)을 통해 개별적 개념으로 소개되는 데이터에 대한 통합적 관점을 소개하고, 다양한 데모를 시연한다.
김학래, Samsung
삼성전자 책임연구원,
프로젝트 리더, Knowledge Sharing Platform (K#)
이사, 한국데이터사이언스학회
자문위원, 국가오픈데이터포럼 (2013 - 현재), 서울시 정보소통광장 (2013 - 현재)
Open Knowledge Korea 리더 (2012-현재)
Lead Researcher, Open Data Barometer (2013-현재)
Organiser, Korea Semantic Web Conference (2009 - 현재)
Inventor, Korea Data Hub project, Social Semantic Cloud of Tags (SCOT)
The ASF is one of the first choices that come to mind when considering where a project should live. It's certainly not the only option available today; but it is one that gets made. If you are considering a move to the ASF, or have a project that isn't yet at a foundation you should come hear about the process, benefits, as well as some of the decision points that are important before proposing your project to the Apache Incubator.
David Nalley, Citrix
아파치재단 부의장
CloudStack PMC & Committer
CiTRix, Open Source Business Office Sr. Manager
다양한 환경과 변수들을 가지고 있어 다루기 복잡한 LTE 네트워크 장비를 시험 자동화하기 위하여 시작한 Python 기반의 Robot Framework에 대한 설명과 도입과정, 활용방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자 합니다.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다음과 같이 로봇 프레임워크를 정의하고 있습니다:
Robot Framework is a generic test automation framework for acceptance testing and acceptance test-driven development (ATDD). It has easy-to-use tabular test data syntax and it utilizes the keyword-driven testing approach. Its testing capabilities can be extended by test libraries implemented either with Python or Java, and users can create new higher-level keywords from existing ones using the same syntax that is used for creating test cases.
로봇 프레임워크의 전체 구조와 간단한 사용법을 시작으로 Python Library를 통한 확장방법, Jenkins와 Robot Framework를 연동한 CI 환경 구축 후에 계속해서 변화하는 개발 환경에서 유기적으로 동작하도록 설계했던 이야기들을 실제 업무에 적용하면서 있었던 어려웠던 점들과 극복해 나갔던 과정을 함께 담아 전달해드리겠습니다.
문성훈, Samsung 삼성전자 네트워크 사업부에서 테스트 자동화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시험 자동화를 구축하면서 오픈소스 시험 자동화 도구인 Robot Framework를 처음 접하게 되었고, 시험에 직접 적용하면서 부족한 부분은 직접 Contribution 하며 개선해나가고 있습니다. 복잡한 시험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자동화를 구축해 나갈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적용하며 오픈소스 정신인 협력을 통해 발전해 나가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2004년 독일에서 Harald Welte 대 Sitecom소송이 제기된 이래로 주로 독일,미국등 많은 나라에서 실제 분쟁이 발생하였는바 경고장이나 통고서로 법원외에서 진행된 것도 있고, 특정법원에서 소송으로 진행된 것들도 있는바 그 중 대부분의 사례들은 합의로 종결되어 왔고, 최근에 유럽의 Patrick McHardy가 유럽회사들을 상대로 제기한 분쟁과 Christopher Hellwig(Software Freedom Conservancy지원)가 VMWare를 상대로 제기한 라이선스 위반소송은 현재까지 진행중에 있다. 오픈소스 라이선스는 최초 개발자및 수정개발자가 자신들의 저작권에 기초하여 모든 이용자에게 차별없이 사용,복제,수정,배포할 수 있는 라이선스를 주는 구조이지만, 새로운 법적 쟁점들을 내포하고 있고, 라이선스를 적용함에 있어서 당면하게 되는 법적 쟁점에 대한 법적해석이 충분히 확립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어려움이 있다. 더우기 EPL같은 소수를 제외한 대부분의 라이선스는 준거법과 국제재판관할 규정을 두고 있지 않아 특정분쟁이 제기되면 과연 어느 나라법에 의하여 해석을 해야 하고,어느 나라법원에서 소송을 제기해야 할지 부터 법적판단이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번 컨퍼런스의 주된 청중인 개발자들을 포함하여 오픈소스 개발,제품화,공급 과정에 관여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왜 오픈소스 supply chain에 있는 모든 관련자들이 오픈소스 라이선스를 준수해야 하고 라이선스 컴플라이언스 체계,절차를 만들어야 하는가 하는 이유를 좀더 생생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실제 분쟁사례에서 문제된 오픈소스 라이선스의 기본적인 법리와 라이선스를 위반하였을 때의 법적효과 내지는 위험을 전부 통틀어 체계적으로 재구성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라이선스의 사용빈도,기본 법리로서의 중요성, 향후 동종 쟁점의 반복가능성,위반의 효과의 중대성등을 고려하여, 15개 정도의 분쟁을 선정, 분석하여 문제된 특정 라이선스 조항, 기본쟁점에 대한 주요 법해석론(주요 국가별 법과 해석론의 구분포함)을 정리한다. 기본쟁점에는 준거법과 재판관할의 결정, 오픈소스 저작물의 저작권의 성질(예,공동or 결합저작물)과 제소권자,오픈소스 라이선스의 법적 성격(계약 또는 일방적 사용허락행위),copyleft의무의 발생요건으로서의 배포의 정의와 범위(배포에 미해당사례 포함), 저작권고지의 방법과 내용,소스코드의 제공방법과 범위,위반의 효과등이 있다.
박종백, 법무법인(유한)태평양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과대학원, London School of Economics,LL.M 2006년말 리눅스 컨퍼런스에 오픈소스 패널디스커션 패널참가 이후 오픈소스 법리에 관심을 갖고 연구,활동시작 2007년부터- 현재 -오픈소스 라이선스와 컴플라이언스 법률자문 (다수의 기업,NIPA, NIA, 미래창조부등) -오픈소스 라이선스 관련 강연및 발표 : KT,SK,KAIST,연대,소프트정책연구소,SOSCON, FSFE European Legal Network Licensing& Legal Workshop, FOSS Con,Korea - 오픈소스 패널토론 참가 Linux Japan 패널토론, Foss Con,Korea 2009- 현재 FSFE ELN 회원 2010 한국오픈소스 법센터 설립, 대표 NIPA, FSFS와 공동으로 FOSS Con,Korea개최(2011-2014) 2014-현재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포럼 주도
말 그대로 '사물인터넷(IoT)' 관련 기술들을 해킹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IT839 정책의 일환이었던 USN 으로부터 M2M, 그리고, IoT 로 이어져 내려온 역사를 토대로 왜 IoT 가 이렇게 관심을 받고 뜨고 있는지 그 시대적 배경을 해킹해보고, 다음으로는 IoT 를 구성하고 있는 3가지 핵심 구성요소들인 IoT 디바이스, 게이트웨이, 서버 등을 해킹해보고, 이러한 3가지 핵심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IoT 네트워크 구조를 해킹, 즉, 분석해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유명환, 엑세스 주식회사
엑세스 주식회사, 연구소장(CTO)
정부통합전산센터 클라우드 기술위원
미래부, SW마에스트로 멘토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IoT 해커톤 기획 및 기술위원
네이버 D2 Startup Factory 파트너(멘토)
오픈스택 한국 커뮤니티 운영진
삼성전자, Microsoft, 서울대, Technical University of Munich, 카이스트, LINE plus, 그리고 세계 이미지 인식 대회에서 7위를 기록한 한국 스타트업 Cldi Inc. 등이 참여하여 개발하는 large-scale deep learning platform "혼" 에 대해 소개한다.
윤진석, Samsung Creator of Apache Hama, Member of Apache Software Foundation.
진행하고 있는 오픈소스 Tadpole DB Hub(올챙이)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어떻게 시작하고, 진행하고 있는지, 할것인지를 알아보려고합니다. 몇 년간의 실패담을 나눠보고 저같은 분이 계시면 좀더 빠른 시간에 고통의 시간을 통과해서 성공하세요.
조현종, 올챙이 Tadpole DB Hub(올챙이) 아빠
오픈소스 라이선스에 관한 정보에는 라이선스 원문 및 번역문, FAQ, 분쟁 및 소송 사례, 판결문, 기업의 컴플라이언스 방안 및 사례 등 다양한 내용이 포함된다. 1990년대 이후 부터 현재까지 한국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오픈소스 라이선스 관련 정보들이 소개되고 가공되고 확산되어 왔다. 특히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삼성전자 등 대기업과 한국저작권위원회 등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라이선스 정보가 체계화되었고 한층 심화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 등 산업계와 대학 및 연구소 등에서는 라이선스 관련 정보를 충분히 접하지 못하고 있다. 이번 발표에서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오픈소스 라이선스 관련 정보가 확산되어 온 과정을 살펴보고, 라이선스 정보의 확산을 위해 지금 현재 우리에게 필요한 실천방안들을 짚어 본다. 특히 오픈소스 라이선스 관련 전문가 네트워크의 구축과 협력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철남, 충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고려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지적재산권법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특히 소프트웨어 지적재산권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다시 방통대에서 전산학을 공부하였다. 현재 충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저작권법, IT법 등을 강의하고 있으며, 국내 기업 및 연구소 등에 오픈소스의 법적 쟁점들에 관한 강의 및 자문을 하고 있다.
HTML5 의 표준 권고안이 채택되면서 HTML5는 엄청난 속도로 웹 전반에 걸쳐 보급되고 있습니다. HTML5 와 기존의 HTML4 / XHTML 1.1 과의 가장 큰 차잇점은 웹을 바라보는 관점입니다. 웹브라우저를 저작 플랫폼이 아닌 실행 환경으로 바라보는 HTML5의 독특한 관점은 webcomponent 에 잘 드러나 있습니다. 이 발표에서는 webcomponent 의 개념 및 역사를 훑고, webcomponent 오픈소스 구현체들인 webcomponents.js 및 구글의 Polymer, 모질라의 x-tag 과 함께 페이스북의 React 와의 비교 및 브라우저 대응에 대한 내용을 다룰 예정입니다.
신정규, Lablup Inc.
포스텍 물리학과 박사 (복잡계물리학/뇌과학)
오픈소스 블로그 플랫폼 텍스트큐브 프로젝트 메인테이너
글로벌 오픈프론티어랩 1기
Lablup Inc. 대표
전세계적으로 모바일 서비스를 위해 Public Cloud 뿐만 아니라 자체 Cloud를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 본 발표에서 는 오픈소스 기반으로 개발한 자체 Cloud Infra에 대하여 소개하고, 성능 및 비용 효율적인 Private Cloud Infra 기술에 대해 발표합니다. 또한, 자체 Cloud Infra를 기반으로 삼성 모바일 단말에 탑재되어 있는 SVoice 서비스 구축 및 운영 경험에 대해 발표합니다.
한영주, Samsung 2012년도에 삼성에 입사한 이후, 소프트웨어센터에서 Cloud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Server, Switch, Firewall, Load Balancer 등 다양한 장비들을 활용하여 Open Source 기반의 자체 Cloud Infra를 개발하였고, 한국과 미국에 수백대 규모 Cloud Infra를 운영중이다. 특히, 자체 Cloud를 기반으로 SVoice 서비스를 위한 Cloud Infra도 운영하여 서비스 중이다
소프트웨어 특허의 개념이 도입되면서 주요 IT 기업들은 특정 기술분야의 주도권을 갖기 위해 특허권 확보 경쟁에 나섰다.
그러나 구글 안드로이드의 성공을 계기로 오픈소스 전략을 통해 자사 기술을 확산시키는 것이 주도권 확보에 보다 효과적이라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현재 주요 기업들은 자사 기술의 오픈소스화를 통한 경쟁을 진행 중이며, 오픈소스 전문 개발자 확보에 힘을 쏟고 있다.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주요 오픈소스에 대한 소스코드 기여가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 기업(개발자)이 주도하는 다양한 오픈소스 프로젝트도 생겨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오픈소스 기여활동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법률 분야의 논의는 오픈소스 라이선스 준수의 측면에만 한정되어있었다. 라이선스 준수는 주로 타인이 개발한 오픈소스를 활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이며, 이에 대해서는 이미 국내에서도 기업과 정부기관의 주도하에 적극적인 대응이 이루어 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 기업 주도로 이루어지는 오픈소스 기여의 측면에서는, 특허권과 관련한 이슈가 더욱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픈소스 진영은 소프트웨어 특허 도입에 대한 반대 입장을 표명할 뿐, 특허권과 관련한 적극적인 대응을 하지 않았다.
이에 본 세션에서는 다음와 같은 주제를 강조하고자 한다.
1) 오픈소스 기여의 필요성
2) 오픈소스 기여 시 발생할 수 있는 특허 리스크와 대응방안
정윤환, Samsung 2012년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하고, 제1회 변호사 시험에 합격한 후 삼성전자 오픈소스그룹에 합류하였다. 오픈소스 라이선스/특허 이슈에서부터 신규 프로젝트 설립에 이르는 오픈소스와 관련된 다양한 법률적 이슈에 대한 실무를 수행하고 있다.
Chromium Open Source 커뮤니티에서 소스 받고 빌드하고 실행도 시켜보았다.. 그런데 찝찝하다... 뭐지.. 이 방대한 코드양 은? 코드를 보면 이해될꺼야.... 하지만 몇시간 후 좌절스럽다...
코드 타고타고... 어느 순간 여기는 어디고 난 이걸 왜 보고 있지?. 이런 막막함(?)을 조금은 덜어보자. 혹은 '다른 사람들은 뭔가 엄청난 방법으로 디버깅을 하고 있는데, 나 혼자 로그로 디버깅하고 있는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든다면, 한번쯤 살펴 보자. 한단계씩 디버깅해나가는 과정을 통해 이슈 해결에 근접해보자.
커뮤니티에서 알려주지 않는 KNOWHOW 대방출! 놓치지마세요!
- Getting Start / Directory Description / How to debug / limitaion / Example
김정은, Samsung Chromium Commiiter, 대한민국에서 할머니 개발자도 가능하다라는걸 보여주고 싶은 범인(凡人)
신미영, Samsung Chromium Commiiter, Chromium~ 그까이꺼~ 라고 말해보고 싶은 소심한 잉여 개발자
최근 인공지능능 분야의 비약적인 발전을 촉진시킨 Deep Learning 기술을 핀테크에 적용해 주식등의 금융거래를 통해 자동으로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 즉 Magic formula를 찾아 헤멘 근 1년동안의 경험을 소개한다. deep learning과 random forest, support vector machine등 다양한 machine learning algorithm을 적용해보고, python과 pandas 그리고 scikit을 적용하면서 얻었던 지식과 노하우를 공유한다.
안명호, MHR KAIST 소프트웨어 전공 클라우드와 Deep Learning을 주로 연구하고 있으며 다양한 IT 기술에 관심을 가지고 있음.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ICT 산업에서 소프트웨어 성장속도는 하드웨어 인프라 성장속도 보다 상대적으로 느림. 이러한 이슈를 해소하고 저비용, 안정성을 담보 할 수 있는 대안으로 오픈소스SW가 주목 받고 있으나, 오픈소소SW는 엄연히 준수해야 하는 라이선스 규정이 있고 이를 준수 하지 않을 시에는 저작권 침해의 분쟁소지가 있기에 오픈소스SW를 활용하는 기업과 개발자는 오픈소스 라이선스 준수여부를 잘 인지하고 있어야 함.
문화체육관광부는 오픈소스SW 올바른 활용 환경을 마련하고, 저작권 준수라는 측면에서 오픈소소SW 라이선스 컴플라이언스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음.
세션 주제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저작권위원회에서 추진 중인 오픈소소SW 라이선스 컴플라이언스 지원 사업에 대한 소개를 하고자 함.
유현석, 한국저작권위원회 현 한국저작권위원회 SW보호포렌식팀장
어떤 회사가 좋은 회사인가? 너무나 중요한 질문입니다. 비전보다 디테일이, 프로세스보다 공감이 중요한 소프트웨어, 그것도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영역에서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이 긍정적이지 않다면, 그 회사는 장기적인 발전도 기대하기 어렵고, 훌륭한 개발자들을 모으기도, 유지하기도 쉽지 않을 것입니다. 이 발표에서는 좋은 소프트웨어 회사, 좋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회사가 되기 위한 조건들을 이야기 합니다. 이 발표를 듣고 소프트웨어 회사들은 더 매력적인 회사가 되기 위하여 할 수 있는 활동들에 대한 힌트를 얻고, 개발자들은 보람차고 의미있는 삶을 유지하기 위하여, 또 자신의 기술적 역량을 최고로 끌어올리고 세상을 바꾸기 위한 기회를 얻을 수 있는 회사를 보는 눈을 가질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이민석, 국민대학교 30년전 모뎀을 통한 PC 통신 방식을 아마츄어무선(HAM)에 적용하기 위한 기술을 사람들과 나누면서 오픈 소스가 가진 공유의 가치를 깨달았고, 20년전에는 오픈 소스를 가져다 X-터미널을 만들어 팔면서 오픈 소스가 가진 기회도 보았습니다. 10년전에는 리눅스로 스마트폰을 만들면서 오픈소스가 세상을 바꾸고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최근에는 우리나라도 커뮤니티가 활성화되고 동기 충만한 오픈 소스 개발자들이 늘어나고 있어 다행이라고 생각하며 학교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을 제대로 양성해야 하는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껴왔고, 교수로서 학교와 커뮤니티의 접점을 만들기 위해 노력 중입니다. 이 땅의 크고 작은 많은 회사들이 확신을 가지고 좀 더 오픈 소스로, 좀 더 커뮤니티 가까이 가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Social Web App Platform(이하 SWAP)은 소셜 기반 모바일 웹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유통, 공유하는 서비스 플랫폼입니다. 누구나 웹앱을 만들어서 공유하고, 메신저 사용자는 별도의 가입/설치 없이 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SWAP은 누구나 가져다 쓸 수 있도록 듀얼라이선스 (GPL2.0 or Samsung BSD-Style License)로 배포하고 있고, 현재 텔레그램 기반의 소셜라이저 메신저에 포팅하여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등록되어 있습니다. SWAP은 오픈소스일 뿐아니라 일반사용자, 웹개발자, 메신저 업체, 스토어 사업자 모두가 공존할 수 있는 에코시스템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삼성 오픈소스 컨퍼런스에서 발표할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SWAP 소개 2) 듀얼라이선스(GPL2.0 or Samsung BSD-Style License) 적용 이유 3) 소셜라이저 소개 4) 11개 레퍼런스 웹앱 소개 5) 자바스크립트 API 소개 6) 개발자 사이트 및 웹앱 등록 방법 소개 7) 향후 계획 (에코시스템 구축 계획)
박경은, Samsung Social Web App Platform 프로젝트 리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