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28 (Wed) ST = Studio(6F) 발표자료 다운로드
OpenStack Forum

오픈스택은 Cloud Operating System (Cloud Management Platform)을 만들 수 있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이다.
전세계적으로 80여개의 사용자 그룹이 있으며, 약 30,000여명의 커뮤니티 회원이 참여하고 있으며, 4,000여명의 개발자들이 기여를 하고 있는 활발하고 폭넓은 커뮤니티이다. 이번 포럼에서는 대학생/대학원생 위주의 살아있는 오픈스택 경험담에 대해
나누고자 한다.

14:00 - 14:40
    • Openstack Swift 로 시작하는 오픈소스 분석 삽질기 download

      오픈소스로 공개된 Object Storage 중 OpenStack의 Swift 가 있습니다. 이 발표에서는 지난 1년동안 인턴으로 ‘오픈스택 swift기반 서비스 구축’ 프로젝트에 개발자로 참여하면서 거대한 오픈소스 프로젝트인 swift 를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해 고군분투 했던 경험과 팁들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Swift 로 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해 사용단계부터 코드레벨의 분석까지의 모든 삽질기를 들으실 수 있습니다.

      조성수, 경희대학교 A2 Company 인턴
      경희대학교 컴퓨터공학과 3학년
      SW Maestro 1기 멘티
      선린인터넷고등학교 졸업

      OpenStack Forum
      ST3
14:50 - 15:30
    • 오픈스택, 미워도 다시 한번 download

      -오픈스택을 접하게 된 계기
      -오픈스택을 하면서 힘들었던 점(어떻게 공부하였는지에 대해서)
      -현재 진행중인 연구(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자 패턴 분석을 통한 자원 재분배에 대한 연구)

      김영우, 세종대학교 세종대학교 시스템 공학 연구실 소속 25세 학생

      OpenStack Forum
      ST3
16:00 - 16:40
    • 오픈스택을 통한 내 성장기 download

      인문계 고등학생으로 평범하게 살다가, 컴퓨터과학과에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그러던 어느날 오픈스택을 만나면서 어떻게 성장하였고, 어떤 마인드를 갖게 되었는지 공유하고 싶습니다.

      송지현, 카카오 2015 ~        다음카카오, 클라우드 컴퓨팅셀
      2013-2014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 4기
      2010-2015 숙명여자대학교

      OpenStack Forum
      ST3
16:50 - 17:30
    • OpenSource software 와의 만남 download

      교과과정 개편과 함께 접하게 된 오픈소스 SW, 왜 오픈소스 SW가 우리 SW분야에서 중요한지. 직접 오픈소스SW를 활용해 볼 수 있는 경험을 계획하던 중 접하게 된 오픈스택.
      그렇게 해서 알게 된 오픈소스 SW의 무한한 활용도와 가능성.
      그리하여 시작된 KMUstack & Khub, 앞으로의 계획

      서동주, 국민대학교 국민대 컴퓨터 공학부 3학년 재학
      Grid&Cloud Lab 소속
      국민대 openstack 동아리 khub 소속

      하는일
      hdfs & spark 를 이용한 기존 legacy 프로그램 파이프라이닝 ( 2015. 3 ~ )
      kmustack 구축중 ( 2015. 7 ~ )

      OpenStack Forum
      ST3
Ubuntu Forum

올해 10주년을 맞이하는 '우분투 한국커뮤니티'는 우분투 공식 한국 지역팀으로 우분투 사용의 즐거움을 함께 나누고
있습니다. 커뮤니티의 핵심 서비스로는 포럼, 위키, askubuntu KR, 메일링을 제공하며, 우분투 사용 확산을 위한 각종 프로젝트,
스터디, 정기 세미나를 개최합니다.

14:00 - 14:40
    • 도커 / 컨테이너 기술 내용 공유 + 데모 download

      클라우드 시대에 컨테이너 기술인 Docker를 통하여, Linux에서는 보다 효율적이면서도, 유연한 배포 및 스케일 인/아웃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IT 엔지니어와 개발자간 개발 산출물에 대한 전달, 설치와 관련된, 그리고 새 버전으로의 업그레이드 등을 포함한 DevOps 시나리오도 활발히 이용되고 있습니다. Microsoft에서는 Open Source에서 기술의 가치를 인정받고, 성숙도를 높혀가고 있는 Docker 조직과 긴밀한 협업을 통해 Microsoft의 Windows Server 2016에서도 Windows용 Docker 기술(Container)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본 세션에서는 얼마전 출시된 Windows Server 2016 Technical Preview 3에 포함된 따끈한 컨테이너 기술을 살펴보며, Open Source 진영과 Microsoft가 어떻게 협업하고 있는지, Microsoft의 오픈소스 전략을 함께 살펴봅니다.

      최주열, Microsoft Microsoft 오픈소스전략 이사
      한국 오픈스택 커뮤니티 대외 협력 분과 위원
      OpenStack Crwobar 컨트리뷰션

      백승주, Microsoft Microsoft Sr. Technical Evangelist
      꼬알라의 하얀집(www.koalra.com) 블로그 운영

      download
      Ubuntu Forum
      ST1
14:50 - 15:30
    • Ceph Storage, ubuntu에서 돌려보기 download

      software define storage ceph community version, ubuntu에서 사용해보기
      - introduce for ceph
      - requirement hardware
      - install and configuration
      - performance tunning

      박재권, 락플레이스 클라우드팀 2008년부터 ubuntu 한국 커뮤니티 활동 - IRC활동만 열심히 함

      download
      Ubuntu Forum
      ST1
16:00 - 16:40
    • 오픈소스로 Fuse에 작업걸기 download

      - Visual Studio Code? 이건 갑자기 뭐야?
      - What is Fuse? Why Fuse?
      - Fuse를 Code에 어떻게 연결하지?
      - Code와 Fuse 연동해서 앱을 만들어보자

      커머셜 소프트웨어에서 오픈소스의 비중이 높아지고 플러그인을 통한 접근이 활발해졌다.
      2015년도에 Microsoft에서 발표한 Visual Studio Code는 내부에 다양한 오픈소스를 활용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있다.
      노르웨이에서 새롭게 개발한 크로스 플랫폼 어플리케이션 제작 툴인 Fusetool은 Fuse 개발사에서 서브라임 플러그인을 자체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는데, Fuse에서 제공하는 서브라임 플러그인을 Visual Studio Code에 맞게 포팅해본다.
      이후 포팅한 플러그인으로 Code에 연동시킬 Fuse는 어떤 개발 툴인지 살펴보고, Code로 개발한 뒤 플러그인을 통해 Fuse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데모를 시연하는 시간을 가진다.

      구자은, 0101RGB 0101RGB 대표
      All-round Developer(Android, iOS, Web, Server)
      Fuse Early Developer Korea 대표

      Ubuntu Forum
      ST1
16:50 - 17:30
    • 학생과 취준생을 위한 오픈소스 & 커뮤니티 download

      오픈소스에 대한 기술, 기술 기반 커뮤니티에 대해서는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그런데 과연 오픈소스와 커뮤니티가 여러분의 취업에 도움이 될까요?
      오픈소스만 잘 하면 먹고사는데 문제없다고 하는 말도 있던데, 정말 그럴까요?
      예전부터 해외에서는 오픈소스로 취직했다는 말이 들려오던데, 국내에서는 과연 어떨까요?
      과연 오픈소스와 커뮤니티가 장래와 국내 취업에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고, 어떻게 하면 오픈소스 & 커뮤니티와 친해질 수 있는지 SOSCON 마지막 40분동안 여러분들과 같이 이야기해 보는 시간 갖도록 하겠습니다.

      장태희, Ubuntu Korea 우분투 한국 커뮤니티 대표 (2015.03 ~ )
      우분투 한국 커뮤니티 실장 (2012.05 ~ 2015.02)

      Ubuntu Forum
      ST1
EFL Forum

EFL은 Enlightent Foundation Libraries 오픈소스 라이브러리이며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GUI 기능을 제공하는 UI 프레임워크입니다. EFL 국내 활성화와 기술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국내 커뮤니티를 만들어 4년째 활동 중입니다.

10:30 - 11:10
    • Tizen 2.4 EFL 소개 download

      EFL Korea Community 행사 안내 및 커뮤니티 현황 공유를 한다. 최신 Tizen 2.4 SDK에 탑재된 EFL (버전 1.13)의 주요 변경 사항 및 신규 기능을 전체적으로 공유한다.

      박춘언, Samsung EFL Committer

      EFL Forum
      ST4
10:30 - 11:10
    • EFL을 이용한 타이젠 게임 개발 download

      Tizen SDK에서 EFL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캐쥬얼 게임을 구현하고 시연한다. 실질적인 데모 게임을 통해 기본적인 화면 구성, 키입력 처리, 시간 진행 처리, 이벤트, 애니메이션 등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구현하는지 설명한다. Enventor와 EDC를 활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게임 GUI를 구성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박진솔, Samsung

      EFL Forum
      ST4
11:10 - 11:40
    • Tizen UI Builder download

      타이젠 SDK의 앱 개발을 위한 WYSIWYG 방식의 UI Builder 소개한다. 타이젠 UI Builder를 사용하여 간단한 앱 작성을 시연하고 작성된 앱 소스코드의 구조를 설명한다.

      서현수, 에스코어

      EFL Forum
      ST4
11:50 - 12:20
    • EFL circular UI-components in GearS2 download

      최근 발표된 GearS2에서 EFL을 이용해 개발한 원형 UX의 구조와 컨셉을 설명한다. Framework에서 제공하는 원형 위젯의 종류 별로 샘플코드와 함께 사용법을 알아본다.

      이우찬, Samsung

      EFL Forum
      ST4
14:00 - 14:30
    • EFL 앱 개발을 위한 팁 소개 download

      EFL을 이용한 상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필히 고려해야 하는 몇 가지 항목이 있다. 본 세션에서는 레이아웃, 이벤트, 메모리, 속도 최적화 측면에서 더 나은 EFL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유용한 팁을 공유한다.

      윤진, Samsung

      EFL Forum
      ST4
14:40 - 15:10
    • 이미지 마스킹 & 필터 download

      EFL 1.13에 새로 도입된 이미지 마스킹(Image Masking)과 필터(Filter) 기능을 소개한다. 이미지 마스킹 & 필터는 이미지 기반의 특수 효과를 주기 위한 기능으로, 본 세션에서는 이들의 사용법은 물론 내부 동작 원리까지 설명하여 애플리케이션에서 마스킹/필터 기능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정보를 공유한다.

      Jean-Philippe ANDRE, Samsung EFL Committer

      EFL Forum
      ST4
15:20 - 15:50
    • EFL 오브젝트 모델 download

      EFL의 신규 오브젝트 모델인 Eo/Eolian에 대해서 알아본다. Eo는 EFL의 새로운 오브젝트 모델 인터페이스로 EFL에서 OOP 개념을 도입하고 여러 프로그래밍 언어 바인딩을 위한 인프라를 제공하기 위한 신규 기능이다. 이번 세션에서는 Eo/Eolian에 대해 소개하고 이들이 제공하는 기능과 사용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한다.

      엄지용, Samsung

      EFL Forum
      ST4
16:00 - 16:30
    • EFL 벡터 그래픽 download

      EFL 1.13에 새로 도입된 벡터 그래픽스 개념과 그 기능에 대해서 살펴본다. 기존 이미지 기반 렌더링과 PATH 기반의 벡터 렌더링의 차이에 대해서 살펴본다. EFL 벡터 래스터라이저 엔진인 Ector에 대해 이해하여 그 원리를 파악하고 Evas_VG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벡터 기반의 애니메이션 구현 방법에 대해 논의해 본다.

      Subhransu Sekhar Mohanty, Samsung EFL Committer

      EFL Forum
      ST4
16:40 - 17:10
    • 16살 된 EFL은 어떻게 관리하고 배포할까? download

      올해로 16년을 맞는 오픈소스 프로젝트 EFL이 어떻게 관리되고 배포되는지 EFL 안정버전 배포 관리자로부터 직접 이야기를 들어본다.

      서주영, Google EFL Committer

      EFL Forum
      ST4
17:20 - 17:50
    • EFL 신규 디버깅 프로파일러 download

      EFL에 신규로 도입된 디버깅 프로파일러에 대해서 공유한다. 타이젠의 TTRACE와는 별개로 EFL에는 DebugD와 EVLOG 인프라를 구축하여 디버깅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UNIX 소켓을 통해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번 세션에서는 EFL 프로파일러 인프라의 핵심 정보를 공유하고 현재 설계 방식과 앞으로의 기능 확장에 대해서 설명한다.

      Carstein Heitzler, Samsung EFL 창시자

      EFL Forum
      ST4